![]()
난 뭘 꾸준히 못 해!
친구에게 운동을 권했더니 첫마디가‘난 뭘 꾸준히 못 해’였습니다.
정말 그럴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매일 꾸준히 하는 일은 너무나 많습니다.
아침에 일어나 침구정리
아침에 세수하기.
아침에 양치질하기.
아침 식사하기
아침 식사후 약 먹기.
점심 식사하기
점심 양치질하기. 등등등
매일 꾸준히 하면서도 본인이 스스로 인식하지 못할 따름입니다. 매일 습관적으로, 무의식적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운동을 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 자신에게 물어 보아야 합니다.
*매일 잊어버려서.
잊지 않기 위해 기존 습관에 붙여서 시작합니다. 예을 들어 아침 식사하기 전에 운동을 하고 식사를 합니다.
*시간이 없어서,
운동 시간을 최우선으로 할당합니다 10분이면 충분합니다.
*운동이 힘들어서
현재의 체력으로 감당할 수 있는 운동량으로 시작해서 아주 천천히 숫자와 빈도를 늘립니다. 처음부터 무리하게 운동하지 않습니다. 아프면 바로 중지하고 운동을 즐겁게 받아들입니다.
예를 들어 ‘팔굽혀 펴기 1분하기’는 핸드폰의 타이머로 1분을 세팅하고 가능한 횟수로 1분만 합니다. 힘들면 무릎 꿇고 해도 됩니다.
*운동해도 성과를 알 수 없어서.
매일 운동량을 기록으로 남깁니다. 처음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하다 보면 천천히 그 숫자가 늘어나고 몸에 근육이 붙기 시작합니다.
*운동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
그냥 하면 됩니다. 그러면서 유튜브를 보고 수정해 나가면 됩니다. 예를 들어 스쿼트를 잘 모르면 우선 ‘쪼그려 앉고 일어서기’룰 하면 됩니다.
매일 운동하는 나를 스스로 칭찬하세요.
젊었을 때 했지만 지금은 못 하는 것이 있다면 다시 할 수 있도록 몸을 만드세요. 젊었을 때만큼 잘할 수는 없어도 할 수는 있어야 합니다.
지금 달릴 수 없으면 조금씩 개선해서 10미터라도 뛸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당신의 결심이 건강한 당신을 만듭니다.
바로 도전하세요.

내 티스토리 '젊은 할아비의 자명종'을 매일 받아 보고 싶으신 분, 또는 주위 분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분은 아래 연락처로 전화번호와 이름을 메시지로 보내 주세요
송기석 010-5601-6521
kisssong@kakao.com.
| 인생의 비밀은 ’클리셰‘라는 단어 뒤에 숨어있다 (3) | 2025.05.02 |
|---|---|
| 내 인생에 충실하자, 타인의 기대는 이제 그만. (0) | 2025.05.01 |
| 가볍게 살자. (0) | 2025.04.29 |
| 친구와의 만남은 항상 즐겁다. (1) | 2025.04.28 |
| 심리학을 배우자: 후판단 편파(26) (1) | 2025.04.26 |